반응형

출처:https://conservative-vector.tistory.com/entry/%EC%BF%A0%EB%B2%84%EB%84%A4%ED%8B%B0%EC%8A%A4%EC%99%80-%EB%8F%84%EC%BB%A4%EC%9D%98-%EC%B0%A8%EC%9D%B4

 

💡 도커와 쿠버네티스 예시 :
컨테이너 하나 띄워서 사용해야지 => 도커를 쓰자
0월 0시에 100개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생성해야지 => 쿠버네티스를 쓰면 된다.

 

쿠버네티스란? 여러 컨테이너를 관리/예약하는 도구

도커란? 여러 컨테이너를 관리/예약하는 플랫폼

그런데 둘이 뭐가 다를까?

간단히 얘기해서 도커는 '기술적인 개념이자 도구'이고 쿠버네티스는 '도커를 관리하는 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미지를 컨테이너에 띄우고 실행하는 기술이 도커고

이런 도커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서비스가 쿠버네티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도커는 '한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데 최적, 쿠버네티스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서비스 단위로 관리하는 데 최적화되어있다.

 

 

 

 

도커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

기술적인 개념이다. 도커로 컨테이너를 띄운다.

컨테이너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환경을 격리한 공간.

컨테이너에 프로그램을 띄워서 돌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서버에 컨테이너를 올려 쓰는데, 그동안 VM을 올려 쓰던 서버와 뭐가 다른가?

그동안의 가상머신(VM)을 올려 쓰던 서버와 다른 점:

서버- Hypervisor위에 VM들을 올리기 vs 서버- Host OS - Docker Engine - Container들 올리기

자원을 필요한 만큼 격리하여 컨테이너에 할당 (= 운영체제와 자원 공유) => 효율적! 배포가 빠름! but 컨테이너 하나가 쳐묵쳐묵하면 장애 발생.

기존 vm은 가상머신의 모든 자원을 사용하던것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이다.

다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로는 '도커 스웜', 'ECS', 'Nomad'등이 있다.

*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컨테이너를 스케줄링/ 클러스터링/ 서비스 디스커버리/ 로깅 및 모니터링 하는 것

쿠버네티스 특징 :

점진적 업데이트 제공 -> 서비스 중단 없이 업데이트 가능

특정 컨테이너가 죽었다면 즉각 그 컨테이너를 복제 생성해서 서비스를 유지한다. (= self healing)

마이크로서비스

거대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능별로 나누어 변경/조합이 가능하게 한 것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하나의 큰 어플을 서비스 단위로 잘라 빠르게 배포 가능.

그리고 각각 분리해서 쓰니 변경사항이 분리된 다른 기능들에 영향 미치지 않음.

클래스 분리하는거랑 비슷한 개념인가보다.

 

 

참고

삼성SDS:: 초보자를 위한 쿠버네티스

배달의민족:: 쿠버네티스를 이용해 테스팅 환경 구현해보기

IBM::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 쉽게 이해하기 - 좋음

subicura:: 쿠버네티스 시작하기 - 좋음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subicura;: 초보자를 위한 도커 안내서

도커 무작정 따라하기

매모

도커 아파치 구축

도커 컨테이너 디렉토리 구조 확인

httpd 사용법



출처: https://conservative-vector.tistory.com/entry/쿠버네티스와-도커의-차이 [에움길]

반응형
반응형

http://www.pyrasis.com/book/DockerForTheReallyImpatient/Chapter01


docker-for-dummies-150208232046-conversion-gate01.pdf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s://gpchun.tistory.com/130


애드센스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서 광고 수익을 예상해 볼 수 있는데요. 여기에 나오는 용어들이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것들이라 많이 생소합니다. 저 역시 매번 볼 때마다 헷갈리는 것들도 있어서, 애드센스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과 정보 공유를 위해 애드센스 도움말을 통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실제 수익과 직결되는 몇개에 대해서만 간단히 알아보고, 자세한 내용은 애드센스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애드센스로 블로그 광고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일단 무조건 검색노출 ▷ 페이지뷰 ▷ 광고클릭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즉, 블로그 방문자가 포스팅된 글을 읽는 동안, 관심있는 광고가 노출되었을 때 해당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블로그 운영자에게 수익이 지급됩니다.

블로그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하며, 관심있는 광고가 적절히 노출될 때에 수익이 발생된다 할 수 있습니다.

역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정보의 유용성이라 생각됩니다.


애드센스 기본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상 수입

최근 계정 활동에서 발생한 수입을 추정치로 보여 주는 금액으로 오늘, 어제, 이번 달 현재까지 및 지난 달에 대한 예상 수입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말 그대로 예상 수입일 뿐이며, 최종으로 지급되는 금액은 여러 요인에 의해 정해집니다. 무효 클릭 또는 노출에서 발생한 모든 수익은 이를 지불한 광고주에게 환급됩니다. 무효 클릭을 방지하는 것은 CPC를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생각됩니다.


광고 노출수

개별 광고가 웹사이트에 게재될 때마다 광고 노출 1회로 기록됩니다. 광고 형식에 따라 게재되는 광고 개수도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수직 배너가 사이트에 게재되면 그때마다 보고서에 광고 노출 2회로 기록됩니다. 또한 광고 단위에 게재되는 광고의 개수는 광고 단위에 표준 텍스트 광고, 확장 텍스트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중 어떤 광고가 게재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포스팅된 글을 읽어야 광고 노출수가 올라가게 됩니다.

간단하게 방문자가 보는 광고의 개수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페이지뷰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페이지뷰

페이지뷰는 사용자가 Google 광고가 게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마다 집계됩니다. 이 페이지에 게재된 광고의 수에 상관없이 페이지뷰 1회로 기록됩니다.

예를 들어, 광고 단위 3개가 있는 페이지를 두 번 조회한 경우 페이지뷰 2회로 기록됩니다.

광고 노출수는 페이지당 광고의 개수로 이해하면 되고, 페이지뷰는 광고 개수와 상관없이 블로그 방문자가 조회하는 페이지 수로 생각하면 됩니다.

검색 노출이 많이 되더라도 페이지뷰가 적으면 말짱 도루묵이겠죠. 페이지뷰가 많아져야 광고노출수도 올라가기 때문에, 실제 페이지뷰로 이어질 수 있는 게시물을 작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실제로 양질의 정보가 많은 블로그일 경우 다른 게시물을 읽을 확률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에, 수익으로 연결될 확률도 높아집니다. 저에게도 그런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네요^^;;


클릭률(CTR)

클릭률(CTR=Click-Through Rate)이란 클릭으로 이어진 노출의 비율을 말하며,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됩니다.

CTR = Clicks / Impressions

Impressions는 노출수가 되겠네요. 통상 CTR은 1%~2%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합니다. 애드센스 모바일 앱이나 웹 보고서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평균이하인듯 합니다.


페이지 CTR

페이지 광고 클릭률(CTR)은 광고 클릭수를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값입니다.

페이지 CTR = 클릭수/ 페이지 조회수

예를 들어 페이지 조회수가 250회이고 클릭이 2번 발생한 경우 CTR은 0.8%입니다. (2/250=0.8%)



클릭당비용(CPC)

CPC(클릭당비용, Cost Per Click)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게시자가 벌어들이는 금액입니다. 광고의 CPC는 전적으로 광고주가 정하는 것이며, 광고하는 제품에 따라 광고주가 클릭당 지불하려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CPC가 높으면 CTR, 페이지뷰가 낮더라도 블로그 운영자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금융, 보험회사 계통의 광고가 CPC가 높다고 하는데, 실제 광고를 보는 시간에 따라서도 광고단가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1초 동안 스쳐 지나듯 보는 광고는 잘못된 클릭 또는 의미없는 클릭으로 인식되어 광고 효과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이럴 경우 CPC가 없거나 클릭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와 달리 오랜시간 광고를 시청했다면, 또는 광고 시청이 제품 구매 등으로 이어졌다면 실제 광고효과가 있다고 판단되기에 원래 약속된 최대의 광고수익이 지급되는 것입니다.

이는 구글 애드센스의 스마트 가격 정책(스마트 프라이싱)으로 애드센스 네트워크에 대한 광고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기능입니다.

그러므로,

광고인듯 아닌듯 애매한 위치에 광고를 삽입해서 클릭을 유도한다면, 블로그 운영 수익에는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훨씬 커집니다. 역시 정직함으로 승부해야 합니다. 


페이지 RPM

1,000회 노출당 페이지 수익(RPM)은 예상 수입을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다음 1,000을 곱한 값입니다.

페이지 RPM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25회의 페이지 조회수에 따른 예상 수입이 0.15달러라면, 페이지 RPM은 6달러가 됩니다((0.15 / 25) * 1,000).


노출 RPM

1,000회 노출당 노출 수익(RPM)이란 1,000회 노출당 평균 수입을 말합니다.

Impression RPM = (Estimated earnings / Impressions) * 1000


애드센스 모바일 앱을 통해서 확인되는 용어는 대략 위와 같습니다. 나머지 용어들은 확장 개념이라 위 용어들만 알고 있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그 외 다양한 애드센스 광고에 대한 용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림과 같이 애드센스 고객센터에서 애드센스 용어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용어집 ▶ https://support.google.com/adsense/topic/19363?hl=ko&ref_topic=3373519


애드센스 광고 게재를 시작했을 첫 달에 비해서는 엄청나게(?) 수익이 늘었지만, 여전히 미미한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꾸준히 블로그 관리를 해준다면 분명히 저도 수익인증을 자주 할 기회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 날이 올 때까지 무한 긍정의 힘으로~ 



출처: https://gpchun.tistory.com/130 [현우파파's 블로그-우보천리(牛步千里)]

반응형
반응형

1.Agile 용어

1)Agile 용어



Scrum

- 스크럼은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애자일 방법론으로서 추정 및 조정 기반의 경험적 관리기법의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처음 시작은 1986타케우지 & 노나카 교수가 HBR에 기고한 “The New Product Development Game” 이라는 기사를

그 기원으로 봅니다.

이후 1995년에 슈와버와 제프 서덜랜드가 이 방법을 소프트웨어 개발에 소개하면서 스크럼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 Sprint

- 개발팀은 스프린트라고 불리는 한정된 기간(Timebox)동안 계획한 일을 수행합니다.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1~4주 정도를
스프린트 기간으로 정합니다. 이를 다른 용어로 이터레이션(Iteration)이라고도 부릅니다.

- 팀의 역량에 따라 (속도(Velocity) 근거하여) 스프린트 기간 동안 완료하기로 약속한 업무를 지속 가능한 리듬으로 작업을 수행합니다.

- 팀은 스프린트 기간 동안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에 스스로 계획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설계/개발/테스트를 통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Epic

- 큰 단위의 기능(또는 시스템) 이름을 적어 놓은 것 : 우선 순위도, 크기도 없으며, 사용자 스토리를 작성하기 위한 출발점입니다.


User Story

-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나 구매자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기능을 서술한 것으로, 계획하거나 기억하기 위한 단서로 사용됩니다.

- 대화를 통해 세부사항을 구체화하며, 세부사항을 테스트 케이스로 문서화합니다.

- 테스트를 통해 완료 여부를 판단합니.


Sprint Backlog

- 하나의 스프린트 동안 개발할 목록으로 사용자 스토리와 이를 완료하기 위한 작업을 태스크로 정의합니다.

- 각각의 태스크의 크기는 시간 단위로 추정합니다.


Estimation

- 사용자 스토리를 구현하는데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생각해 보는 과정입니다.

- 애자일 추정에서는 프로젝트 초기에 현실적인 판단이 어려운 Man-hour’, ‘Man-day’ 같은 시간 단위보다는 실제 수행한 것을 기반으로

공수를 추정해 낼 수 있는 스토리 포인트를 사용합니다.



2.JIRA Agile Report

1)JIRA Agile Report


Burndown chart

- 개발 완료하기까지 남은 작업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터레이션 별로 남아 있는 작업량을 스토리 포인트라는 것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 스프린트 목표 달성의 가능성과 남아있는 전체 작업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스프린트에 걸쳐 남은 작업을 추적하여, 팀은 진행 상황을 관리하고 적절하게 응답 할 수 있습니다.


Sprint Report

- 각 스프린트 백로그에 밀려 연장되었는지 완료 되었는지에 대한 작업을 이해하기 위하여 '스프린트 보고서'를 사용합니다.

- 보고서에 정기적으로 실패한 작업을 보여줄 때, 팀은 over-committing 하거나 과도한 스코프로 인해서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Epic Report

- 시간이 초과된 Epic 완성을 위해 진행상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 추측할 수 없거나 불완전하게 남은 작업량을 추적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Version Report

- 정확한 시간에 버전을 릴리즈할 가능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 계획에서 차이점에 따라 진행하기 시작하면 당신이 알 수 있도록 예상 프로젝트 릴리즈 일자를 추적 할 수 있습니다.


Velocity Chart

- Sprint로 부터 완벽하게 완료된 Sprint의 작업량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 완료된 작업의 평균양이 Velocity이며, 앞으로의 Sprint에서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팀의 작업을 추정합니다.


• Control Chart

- 현재 프로세스 데이터로 미래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 Issue의 주기 시간에 대한 적은 변화로, 미래의 성능 지표를 의미하는 신뢰를 높이는데 사용합니다.


Cumulative Flow Diagram

- 시간의 흐름에 대한 Status에서 Issue 번호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