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챌린저
·
IT기술 관련/모바일
https://drive.google.com/folderview?id=0B7rtSe_PH_fTWDQ0RC1DeWVoVUE&usp=sharing
스타트업이 자주 하는 초기 제품 기획 시 2가지 실수
·
창업/기타 지식
이야기를 시작하며이 글은 이제 막 출발을 하려는 스타트업이나, 새로운 제품을 추가로 개발하려고 준비 중인 스타트업들을 독자로 합니다. 또, B2B 보다는 B2C를, 그리고 커머스 혹은 게임 보다는 서비스를 하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합니다.스타트업이 초반에 제품을 기획할 때는 1) 큰 그림 보다는 작은 그림에 집중해야 하고, 2) 뜬 구름같은 것들 보다는 눈에 보이는(Tangible) 것들로 논의하고 판단해야 합니다.보면 경영대 출신 창업자들이 업계에 아주 많은 것 같습니다. 꼭 경영대 출신은 아니더라도, MBA나 전략컨설팅펌을 거친 사람들도 많고요. 그런데 이런 경영 백그라운드의 기획자/창업자들이 비교적 다른 백그라운드의 사람들보다 작은 그림보다는 큰 그림에 집중하고, 눈에 보이는 것들 보다는 뜬 구름 ..
스타트업 지원 사이트
·
창업/기타 지식
http://xn--k--cz5jl7htxsoyc.xn--3e0b707e/jsp/startUp/startUp2014.jsp http://startupall.kr/ 해당 사이트에 있는 우수작품들을 분석해보자 -> 어떠한점에서 채택되었는지 판단해보기
게임 엔진 소스
·
대학 생활/게임 보안
https://bitbucket.org/tiff2766/dkdemo
IT 관련 중국어
·
기타
게임 보안: 랙에 관한 모든 것
·
대학 생활/게임 보안
게임 보안: 랙에 관한 모든 것 by 신영진(YoungJin Shin), codewiz at gmail.com, @codemaru, http://www.jiniya.net#0 잘나가는 게임에서 가장 민감한 이슈를 하나 꼽으라면 랙이다. 모든 게이머들이 가장 싫어하는 단어 중에 하나고, PC를 업그레이드하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랙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그 랙(lag)이란 무엇일까? 랙이란 단어 의미 그대로 지연을 나타낸다. 게임상에서 발생하는 그 모든 지연에 대해서 우리는 랙이라고 이야기한다.요즘 가장 핫한 게임을 꼽으라면 단연 디아3를 빼놓을 수 없다. 처음 아시아섭이 혼잡해서 접속이 원활하지 않아서 북미섭에서 노멀을 클리어하면서 난 블리자드 장인 정신의 정수 그 자체를 맛보았다. 엔딩을 보고는 ..
게임 보안: 허들 넘기…
·
대학 생활/게임 보안
게임 보안: 허들 넘기… by 신영진(YoungJin Shin), codewiz at gmail.com, @codemaru, http://www.jiniya.net사용자들은 언제 게임보안 제품을 느낄까? 해킹툴을 잘 잡아서 게임 내 해킹이 줄었을 때? 아니다. 사실 일반 게이머들은 게임보안 제품이 해킹툴을 잡는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들이 게임보안 제품을 느끼는 대표적인 순간은 바로 잘되던 게임이 안되기 시작하는 순간이다. 게임보안 제품이 게임 구동을 방해하는 허들이 되는 그 지점인 것이다. 이 순간이 되면 모든 게이머들이 안티치트 솔루션 이름에 대해서 알게된다. 더불어 그 게임이 진짜 인기있는 게임이라면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1위에서 10위까지 휩쓰는 기염을 토하기도 한다. 이 모든 일..
게임 보안: 커플링에 관한 오해들…
·
대학 생활/게임 보안
게임 보안: 커플링에 관한 오해들… by 신영진(YoungJin Shin), codewiz at gmail.com, @codemaru, http://www.jiniya.net게임사 미팅을 해보면 흔하게 겪는 일 중에 하나가 커플링에 관한 오해들입니다. 반지는 아니구요. ㅋㅋ 게임과의 결합도가 높은 보안 코드에 대한 이야깁니다.소프트웨어 공학에서는 모듈간의 의존도 내지는 결합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커플링이란 단어를 쓰거든요. 결합도가 낮으면 느슨한 결합이라고 하고 결합도가 높으면 강한 결합이라고 한답니다. 어떤게 좋을까요? 당연히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는 커플링이 낮은 수준이 닥치고 갑입니다. 결합도가 높다는 건 덜 모듈화 됐고, 고치기 쉽지 않으며, 수정할 때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유지보수 하기가 까다롭다는..
끝나지 않은 전쟁: 논클라이언트 봇
·
대학 생활/게임 보안
끝나지 않은 전쟁: 논클라이언트 봇 by 신영진(YoungJin Shin), codewiz at gmail.com, @codemaru, http://www.jiniya.net보안 프로그래밍 끝나지 않은 전쟁: 논클라이언트 봇소개 영겁의 세월을 두고 진화하는 우주처럼 보안에서의 창과 방패의 싸움도 영원히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그런 이슈 중에 하나인 논클라이언트 봇과의 전쟁에 대해서 살펴본다. 논클라이언트 봇의 정의 및 구조적 특징과 함께 그간 논클라이언트 봇에 대응하기 위해서 논의되었던 전략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필자소개 신영진 codewiz@gmail.com, http://www.jiniya.net 웰비아닷컴을 창업해 게임보안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
게임 보안: 인력에 관한 불편한 진실…
·
대학 생활/게임 보안
게임 보안: 인력에 관한 불편한 진실… by 신영진(YoungJin Shin), codewiz at gmail.com, @codemaru, http://www.jiniya.net국내 게임보안 업체 중에서 우리 회사가 가장 영세하다. 가장 후발 주자다. 그러다보니 업체 미팅을 하다보면 으례 듣는 이야기가 있다. 그 인력을 가지고 지원이 되겠냐는 이야기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사실은 그렇게 이야기 했던 많은 업체들이 사용하고 난 다음에는 지원이 참 좋다는 이야기를 한다. 해킹툴을 잘 잡는다는 이야기도 한다. 왜 그럴까?여기에는 게임 업체에서는 전혀 생각하지 못하는 정말 불편한 진실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바로 MPS다. MPS가 뭐냐고? Man Per Site다. 사이트당 몇 명의 인력이 대응하는지를 나타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