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미국 관세란?
미국에서 물건을 수입할 때는 **세관(Customs)**을 통해 **관세(Duty)**가 부과될 수 있어요.
관세는 상품의 종류, 가격, 운송비 등에 따라 달라지며,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에서 담당합니다.
🔍 관세 계산에 필요한 요소
관세는 아래 요소들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상품 종류 (HS 코드)
-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상품 분류 코드
- 예: 핸드백 = 4202, 스마트폰 = 8517
- 상품 가격 (Declared Value)
- 송장에 적힌 가격 (거래 기준)
- 운송비 및 보험료 (Freight + Insurance)
- 총 비용 = 상품 가격 + 배송비 + 보험료
- CIF 기준으로 관세 부과
- 관세율 (Duty Rate)
- 상품 종류에 따라 0% ~ 20% 이상
- 예: 의류나 가방 등은 9% 이상일 수 있음
🧮 미국 관세 계산 예시
한국에서 가죽 핸드백을 미국으로 수입하는 경우
- 상품가격: $200
- 배송비: $30
- 보험료: $5
- 총 과세 기준 금액: $235
- 관세율: 약 9%
- 👉 관세 = $235 × 9% = $21.15
※ 실제 관세율은 HS 코드와 세관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미국 개인 수입 면세 기준
미국은 개인 수입에 대해 $800까지 면세 혜택이 있어요!
- 하루 1인당 $800 이하의 수입품은 무관세
- 초과 시, 초과된 금액에만 관세 부과
- 단, 너무 자주 수입하면 ‘상업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
반응형
'창업 > 유통업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 관세 정책,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0) | 2025.04.09 |
---|---|
⚔️ 상호 관세란? 무역 전쟁 속 숨은 카드! (0) | 2025.04.08 |
스마트스토어 제품조사 , 선정, 소싱 하는법 (0) | 2024.09.14 |
해외구매대행 사업자 신고 방법 (0) | 2024.09.12 |
하나의 사업자로 스토어팜 몇 개 까지 만들수 있나요? 서브스토어팜, 복수아이디, 추가스토어팜 (0) | 2019.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