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데이터를 물리 서버(On-Premise)로 전송하는 비용과 AWS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용은 다릅니다.
AWS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나가는 데이터 (Egress) 비용이 부과되지만, AWS 내부 전송은 무료 또는 저렴하게 제공됩니다.
✅ 1. AWS에서 물리 서버로 데이터 전송 비용 (인터넷 egress)
AWS에서 외부(인터넷,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로 데이터를 보낼 경우 비용이 발생합니다.
비용은 리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1GB | 무료 |
1GB ~ 10TB | $0.09/GB |
10TB ~ 50TB | $0.085/GB |
50TB ~ 150TB | $0.07/GB |
150TB 이상 | 별도 문의 (할인 가능) |
📌 예제:
✅ AWS에서 매월 1TB(1,024GB) 데이터를 물리 서버로 전송하면 비용은:
1,024GB × $0.09 = $92.16 (약 12만 원/월) 💰
✅ 2. AWS 내부 전송 비용 (AWS 내에서 Security Onion 운영)
AWS 내에서 같은 리전 내 데이터 전송은 대부분 무료입니다.
하지만 다른 리전 간 데이터 전송이나 VPC Peering, AWS Direct Connect 등을 사용할 경우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같은 리전 내 같은 AZ (EC2 → EC2) | 무료 |
같은 리전 내 다른 AZ (EC2 → EC2) | $0.01/GB |
다른 리전 간 전송 (AWS → AWS) | $0.02/GB ~ $0.09/GB |
📌 예제:
✅ AWS 내부에서 EC2 간 데이터 전송이 1TB라면:
- 같은 AZ 내 → 무료
- 다른 AZ 간 (멀티 AZ 배포 시) → $0.01 × 1,024GB = $10.24 (약 1만 3천 원/월)
- 다른 리전 간 (서울 → 도쿄 전송 시) → 최대 $92.16 (약 12만 원/월)
✅ 3. 어떤 방식이 더 저렴할까?
AWS 내부에서 Security Onion을 운영하면 데이터 전송 비용이 훨씬 저렴합니다.
💡 AWS에서 물리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인터넷 나가는 트래픽) 비용이 가장 비쌉니다.
AWS 내부 (같은 AZ) | 무료 | 같은 가용 영역(AZ) 내에서 운영 |
AWS 내부 (다른 AZ) | $0.01/GB | 고가용성(Multi-AZ) 설정 가능 |
AWS 내부 (다른 리전) | $0.02~$0.09/GB | 글로벌 네트워크 사용 시 추가 비용 발생 |
AWS → 물리 서버 (인터넷) | $0.09/GB 이상 | 인터넷으로 전송 시 가장 비쌈 |
✅ 4. 결론 (비용을 절감하려면?)
1️⃣ 💰 비용 절감이 목표라면?
- AWS 내부에서 Security Onion을 운영하는 것이 훨씬 저렴합니다.
- 같은 리전, 같은 AZ에서 배포하면 데이터 전송 비용이 거의 없음.
2️⃣ 🌍 물리 서버에서 운영하고 싶다면?
- AWS 데이터 전송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만 다운로드하는 구조 설계
- AWS Direct Connect를 활용하면 데이터 전송 비용을 절감 가능
3️⃣ 🏠 하이브리드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면?
- AWS에 중요한 보안 로그를 저장하고,
- 필요할 때만 요약 데이터를 물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이 가장 비용 효율적임.
🚀 최적의 선택
AWS 내부에서 운영 | ✅ 가장 저렴 | ✅ 확장 가능 | ✅ AWS 보안 서비스 연동 가능 |
물리 서버에서 운영 (AWS와 연동) | ❌ AWS 트래픽 비용 높음 | ❌ 하드웨어 제한 | ✅ 내부 네트워크 트래픽 100% 모니터링 가능 |
하이브리드 방식 (AWS + 물리 서버 연동) | ⚠️ 적절한 아키텍처 필요 | ⚠️ AWS Direct Connect 필요 | ✅ 데이터 보호 가능 |
📌 즉, AWS 내부에서 Security Onion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며,
필요하면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물리 서버와 연동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관련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NFW(network firewall) 상태 비저장(Stateless) 규칙 그룹에서 0.0.0.0 통과를 설정할 경우 stateful로 안넘어갈까? (0) | 2025.03.26 |
---|---|
AWS Transit Gateway 라우팅 테이블에서 '블랙홀(Blackhole)' 상태란? (0) | 2025.03.25 |
AWS Security Lake 장점과 단점 (0) | 2025.03.19 |
[AWS] a 계정에 있는 S3 버킷에 b계정 firehose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5.03.18 |
AWS Security hub 최적화 하기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