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https://erlnote.wordpress.com/2015/03/16/virtual-box-vdi-%EC%9A%A9%EB%9F%89-%EB%8A%98%EB%A6%AC%EA%B8%B0/

 

windows 7에 virtual box를 설치하고 xubuntu를 guest os로 설치했다고 가정한다.
저장소는 vmdk일 경우 먼저 vdi로 변경 후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한다.

vdi 용량 늘리기

1) vmdk를 vdi로 변경

cmd를 열고 vmdk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VBoxManage.exe의 clonehd 기능으로 vmdk파일을 vdi로 변경한다.

1
>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exe" clonehd server1-disk1.vmdk server1-disk1.vdi --format vdi

2) vdi 사이즈 수정

vdi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해서 VBoxManage.exe의 modifyhd 기능으로 사이즈를 변경한다. –resize 매개변수의 값은 단위가 MB이며 30GB를 원할 경우 30 * 1024 = 31744를 입력하도록 한다.

1
>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exe" modifyhd server1-disk1.vdi --resize 31744

3) VirtualBox GUI 관리자에서 설정>저장소를 선택 후 기존 vmdk 연결을 제거하고 새로운 vdi 파일을 추가해 준다.

우분투 파티션 변경

gparted를 사용해서 파티션을 변경한다.

1) gparted 설치

1
sudo apt-get install gparted

2) gparted 실행

1
sudo gparted

3) 파티션 합치기

디스크 사이즈를 조정했다면 할당되지 않은 새로운 공간이 보일 것이다.
주의할 것은 원래 파티션과 새로운 할당되지 않은 빈 공간 사이에 다른 파티션이 있으면 안된다.

만약, 있다면 해당 파티션을 제거해야 한다.

원래의 파티션(합칠 대상)에서 크기조정/이동 메뉴를 선택한 후 원하는 크기만큼 변경하고 v 체크 버튼을 클릭해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면 끝이다.

반응형
반응형
1.
데스크탑이라면 bum 이라는 프로그램이 편할 겁니다.
boot-up manager 라서 gui 환경으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설치하면 설정 부분에 메뉴가 생깁니다.

2.
서버 시라면 수작업이 편한데요...
runlevel 해 보시면 몇 레벨로 부팅된지 볼 수 있습니다.

/etc 폴더에 보면

rc.local  rc1.d/    rc3.d/    rc5.d/    rcS.d/    
rc0.d/    rc2.d/    rc4.d/    rc6.d/ 

이런 폴더 들이 있습니다.  부팅시 시작 레벨을 의미하는 데요... 6레벨은 종료시 실행하는 것들입니다.
각 폴더를 들여다 보면 소프트링크가 걸려 있습니다. 실제 실행 스크립트들은 /etc/init.d 에 있죠...
시작하고자 하는 것(/etc/init.d) 을 소프트링크로 등록해 주시면 되겠죠...
어떤 특정 명령어를 실행하고 싶으면 rc.local 에 입력해 놓으면 편하고요

참고로 소프트링크 거는 법은

ln -s 링크걸실제파일 만들가상파일

p.s
아래는 참고 하세요...  이론적인 부분 잘 설명해 놓았길래 인터넷에서 퍼왔습니다.


Ubuntu Service

    Ubuntu에서 Service의 등록과 실행 등

Boot-Up Manager

    sudo apt-get install bum
    각종 서비스의 시작/종료/자동시작 지정등을 할 수 있다.

Service 자동 시작

    How can I configure a service to run at startup
    sysv-rc-conf 패키지를 설치해 CUI 로 적용할 수 있다.
    update-rc.d 명령

    # 서비스 자동 시작 등록
    sudo update-rc.d 서비스명 defaults

    # 자동 시작 제거
    sudo update-rc.d 서비스명 remove

Run Level

    현재의 Run Level 체크

runlevel
# or
who -r

Startup/Shutdown 시 실행할 Script 지정

    Executing a script at startup and shutdown
    /etc/rc.local : 시작시 실행할 명령
    /etc/rc6.d/* : 종료시 실행할 명령
        파일은 모두 chmod +x 로 실행권한이 있어야 함.
        파일 이름은 K99_로 시작하게 할 것.


출처 : http://kwonnam.pe.kr/wiki/linux/ubuntu/service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whatwant.tistory.com/686

http://mainia.tistory.com/496

 

우분투 디스크 공간부족할 때 파티션 편집기로 해결

 

개발환경 : VMware 6.5.3, 우분투 9.10, window XP

 

1. 디스크 사용량 분석 유틸리티를 돌려 파악한다.

 

Disk Usage Analyzer 유틸을 실행시킨다.

 

실행하게 되면 왼쪽에 폴더와 파일의 용량정보가 나오며 오른쪽은 그래프로 표현된다.

현재 공간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파일스캔 버튼을 실행하자.

위 메뉴중 Scan home Home 에서의 파일 정보들을 나타내며 오른쪽에 디스크 모양은

전체적인 파일정보를 리스트와 그래프로 표현해준다

 

현재 8 기가를 사용하고 있는데 안드로이드 풀소스를 받았더니 꽉 차버렸다.

그래서 하드를 마운트 시켜 파티션을 조정해야할 것 같다.

 

2. VMware 에 하드디스크 추가

 

 

VMware 서버 setting 정보로 들어가서 하드웨어 탭을 클릭한다. 그리고 아래에

Add 버튼을 클릭해 Hard Disk 를 원하는 크기만큼 설정해 추가한다.

나 같은 경우는 20G 를 추가하였다

3. 파티션 편집기로 공간을 조정한다.

 

(1) 파티션 편집기를 다운받는다.

$ sudo apt-get install gparted

 

(2) 설치가 끝났으면 System > Administration > GParted 를 실행한다.

 

(3) 2번에서 추가한 하드 디스크에 파티션을 설정하자

오른쪽 상단에 디스크 설정하는 란이 있다. 그중 위에서 추가한 sdb 를 선택한다.

 

메뉴에서 New 를 클릭해 파티션을 생성한다. 다른 디스크는 File System ext4

사용하고 있으므로 같이 맞춰준다.

 

이제 모든 설정값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러기 위해서 메뉴에 Edit > Apply All Operation

이나 v 아이콘을 클릭해서 작업을 진행한다.

 

성공적으로 수행이 되었으면 다음과 같이 완성된 화면을 볼수 있다.

4. 재부팅후 디스크의 소유권을 개별 사용자로 변경하자.

 

재부팅을 하면 새로 생성한 디스크가 마운트 된 것을 볼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소유권이 root 로 되어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내가 로그인한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소유권을 변경하자.

 

콘솔을 열어 chown 명령으로 권한을 변경한다.

# chown [소유자].[소유그룹] [디렉토리명 또는 파일명]

# chown -R [소유자].[소유그룹] [디렉토리명 또는 파일명]

 

새로 추가한 디스크의 소유권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그곳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위치는 media 에 들어가 있다. root 권한 임을 볼수 있다.

 

위의 명령문을 사용해 로그인 사용자 계정으로 바꿔본다

$ sudo chown -R mainia.mainia /media/data

아래그림을 보면 바뀐 것을 알수 있다. 이제부터 일반 계정 로그인 사용자로

사용이 가능해졌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http://tong.nate.com/boxitem/post.do?action=read&_boxID=2687242&_tongID=862169&_boxItemID=42196439&_reloadTag=y

 

#ln -sf /usr/share/zoneinfo/GMT /etc/localtime

- 우선 사용할 시간대를 localtime에 연결한다.

#rdate -p time.bora.net

- 시간 체크후

#rdate -s time.bora.net

- 동기화를 시켜준다.



 

리눅스 시간 설정

/usr/sbin/timeconfig
-> 한국(서울) 시간으로 설정

date
-> 리눅스 시스템 시간 보임

clock -w
-> 시스템 시간 세팅

clock
-> 시분초로 보기

**** 다른시간설정 방법..

# ntpdate time.kriss.re.kr
-- 우리나라 표준시를 관장하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있는 세슘원자시계와 정확하게 일치됩니다

# ntpdate 203.254.163.74
-- 만약 /etc/resolv.conf 에 DNS 서버주소가 없어서 위 주소를 해석하지 못한다면 직접 IP 를 써도 됩니다.

# 주기적 변경 가능하게 /etc/crontab에 설정하는 것이 좋다.



 

Linux Time Config

 

 

1. 리눅스 시간의 종류

리눅스는 시간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마더보드에 붙어있는 배터리 달린 RTC가 있고

CPU에서 계산하는 시간이 있습니다. 전자를 HW clock, 후자를 System clock라고 부릅니다.


2. 현재시간을 출력 한다

#date : 리눅스 시스템 시간 보임

#clock : 시분초로 보기


3. 시간 설정

! # date [MMDDhhmm[[CC]YY][.ss]

맞추려는 시간이 2004년 07월 15일 오후 4시 15분 50초라면..

# date 071516152004.50


! # clock -w : 시스템 시간으로 세팅


 

 

타임 서버 이용


! 타임서버

time.bora.net

time.kriss.re.kr : 주로 refuse


! 타임서버 시간 보기

# rdate -p time.bora.net


! 타임서버 시간을 로컬 시간으로

# rdate -s time.bora.net         


! 확인

# date



 

특정시간대로 이동


 

 date --set='-7 hours'


 

특정날짜로 이동

 

date -d '7days ago'


시간대 선택하기

# timeconfig : 시간대 선택 가능 (아시아/한국으로 선택)  root권한

이것을 마쳐주지 않으면 두대의 컴퓨터에서 같은 시각으로 셋팅을 주더라도 각기 다른 시간대가 선택되면 시간이 맞이 안 맞을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