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 관세란? 무역 전쟁 속 숨은 카드!
·
창업/유통업 관련
무역 뉴스나 국제 경제 기사에서 “상호 관세”, **“보복 관세”**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이 개념을 알면 국제 무역 흐름과 관세 정책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상호 관세란?상호 관세(Retaliatory Tariff)는 한 국가가 자국 산업 보호 또는 상대국의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상대국 수입품에 대해 보복성으로 부과하는 관세입니다.즉, 먼저 누가 관세를 부과했을 때,“우리도 너네 제품에 세금 붙일 거야!”하는 식으로 맞대응하는 것이죠.🧨 예시: 미중 무역 전쟁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2018~2020년 미중 무역 분쟁입니다.미국: “중국이 지식재산권 침해했어!” → 중국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중국: “그럼 우리도 미국산 농산물, 자동차에 관세 매긴다!”→ 이렇게 서로가 서로의 상품..
🇺🇸 미국 관세 계산법 & 기본 개념 총정리!
·
창업/유통업 관련
📦 미국 관세란?미국에서 물건을 수입할 때는 **세관(Customs)**을 통해 **관세(Duty)**가 부과될 수 있어요.관세는 상품의 종류, 가격, 운송비 등에 따라 달라지며,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에서 담당합니다.🔍 관세 계산에 필요한 요소관세는 아래 요소들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상품 종류 (HS 코드)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상품 분류 코드예: 핸드백 = 4202, 스마트폰 = 8517상품 가격 (Declared Value)송장에 적힌 가격 (거래 기준)운송비 및 보험료 (Freight + Insurance)총 비용 = 상품 가격 + 배송비 + 보험료CIF 기준으로 관세 부과관세율 (Duty Rate)상품 종류에 따라 0% ~ 20% 이상예..
Seed 투자유치 이후 Pre-A를 받기까지 가장 도움되었던 9단계의 질문에 대한 내용
·
창업/기타 지식
[ PMF를 찾는 즉시 사업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은 스타트업계의 오해다. 이는 B2C에는 적용될 수 있지만, B2B SaaS에는 해당되지 않는다."B2B SaaS 기업에게는 반복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영업 방식을 찾는 것이 핵심 단계다." 이 과정은 PMF를 찾는 것만큼 어려워서, 이를 건너뛰고 스케일업을 하다가 많은 스타트업들이 실패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9단계의 질문들을 설계해보았다. ]비즈니스에 있어서 정답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빌딩케어의 PMF를 찾은 이후 헤메고 있는 저희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사업에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아래 질문들을 공유합니다.그 외에도 적용해보면 좋을 질문과 생각 등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
점점 사업이 안되는 사람들의 습관을 봤더니....
·
창업/외식업 관련
출처: 조자룡 회장님● 점점 사업이 안되는 사람들의 습관을 보니..● 제가 사업이 점점 안될 때 도대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아무리 고민해도 이유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 한참을 고뇌한 끝에 충격적인 현실을 알게 되었고 그 건 본질적인 제 삶 속의 찌들어 있는 안 좋은 습관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 습관을 고치는 것이 제가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어떠한 큰 목표와 꿈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현실적인 내 생활 속에 찌들어 있는 이 습관이 문제라는 걸 심각하게 생각하며 저 또한 이 글을 쓰면서 바꾸어 나가려 합니다.  모든 사람이 완벽하지 않으며 저 또한 완벽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제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건 매우 당연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
스마트스토어 제품조사 , 선정, 소싱 하는법
·
창업/유통업 관련
본문 시작  1. 아이템 선정    아이템 스카우트가 젤 낫습니다. 찾는 방법 다들 아시죠?신사임당님이 2년전 알려주신 방법 그대로입니다.중소형 키워드 노리시면 됩니다.tip : 3차 분류까지 지정해서 하나하나 씩 찾아보세요.아이템스카우트 오류인지 2차 분류까지만 셀렉하니까 서칭이 제대로 안되네요.    경쟁강도조회수 5000에 상품수 1000'강아지 짐볼'조회수 대비 검색수 좋네요.그냥 생활/건강 카테고리에서 반려동물 누른다음에,경쟁강도 보고 찾았습니다. (30분 걸림) tip : 처음 시작하시는 분이라면, 조회수 1000~5000에상품수 1000 미만인, 경쟁강도 '아주좋음'으로 추천드립니다.  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판매량아이템 스카우트의 6개월 매출량과실제 네이버 노출되고 있는 3위..
해외구매대행 사업자 신고 방법
·
창업/유통업 관련
본업을 평생직장으로 여기는 시대는 저물고 투잡 등 다양한 부캐릭터(부캐)를 찾고 있는 시대임은 분명합니다. 초기 투자금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할 수 있는 해외구매대행 사업자 신고 방법 및 등록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외 구매 대행 이란?'해외직구'란 국내 소비자가 외국의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물품을 직접 구매(수입)하는 것으로 거래형태에 따라 직접 배송, 배송 대행 및 구매 대행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상품을 미리 구매하여 가지고 있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1. 직접 배송 :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접 주문 결제하고 국내로 직접 배송받는 방식 2. 배송대행 : 배송 대행업체가 운영하는 현지 물류 창고에서 주문 물품을 대신 수령한 후 배송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여 ..
요양원 폭행 사건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
창업/기타 지식
뉴스에서만 볼만한 일이 나에게도 일어났다 요양원에 계신 할아버지가 폭행 당한것 세부적인 내용은 나중에 얘기하겠지만 요약하자면, 수시로 폭행을 당하셨고, 경찰과 직접 찾아가서 확인하게 되었다.  이처럼 요양원에서 일어나는 노인 학대와 폭행의 처벌은 어떻게 될까요?  노인 학대나 폭행 행위가 적발되면 해당 요양보호사는 자격이 취소되며, 요양기관에도 행정처분이 내려집니다. 노인장기요양보호법에 따르면 수급자에 폭행을 가하거나 상해를 입히는 행위를 하게 된다면 장기요양기관의 경우에는 그 지정이 취소되거나 최대 6개월의 업무정지에 처할 수 있습니다. 시행 규칙에 따르면 1차 적발 시 업무정지 6개월, 2차 적발 시 장기요양기관 자격이 취소됩니다. 요양원 폭행 피해자 가족은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1. 증거수집 (CC..
중국에서 동영상 올릴 수 있는 사이트 (유튜브 유사 사이트)
·
창업/트렌드
온라인 마케팅 중에서 동영상은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들 알다 싶이 중국 인터넷 규제로 인해 유튜브(youtube.com)는 중국에서 방문 불가능하고, 네이버 동영상 등을 이용하면 중국에서 방문 속도가 아주 느릴 수 있습니다. 그럼으로 아래 제가 무료로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 중국 사이트 20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순위는 일 방문자 수, 바이두 PR 등을 참조, 1위~20위 중국 동영상 사이트입니다. 1. 优酷网 youku.com2. 爱奇艺 iqiyi.com3. 搜狐视频 tv.sohu.com4. 腾讯视频 v.qq.com5. 哔哩哔哩视频 bilibili.com6. 土豆网 tudou.com7. 56网 56.com8. PPTV pptv.com9. 乐视网 le.com10. 百度视频 v..
인공지능(AI) 산업 전망과 투자 전략
·
창업/트렌드
1. 산업 전망 인공지능(AI)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AI 기술은 제조, 의료, 금융, 농업 등 여러 산업에 적용되어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와 AI 반도체의 발전은 AI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로, 마케팅, 콘텐츠 제작, 고객 서비스 등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AI 반도체: AI 반도체는 AI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하드웨어로, AI 기술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 투자 전략 AI 산업에 투자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AI 기..
Basecamp (37signals) 는 어떻게 성장한 회사인가
·
창업/기타 지식
베이스캠프는 투자를 안 받고 처음부터 이익을 내는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도 크게 성장한 회사임. 2020년 기준 직원 인당 매출이 51억을 넘음  37signals  직원수  연매출 (달러)  연매출 (한화)  1인당 연매출  2012  30  $43.69M  585억  19.5억원  2014  41  $78.85M  1057억  25.8억원  2016  49  $141.57M  1898억  38.7억원  2017  55  $168.58M  2260억  41억원  2018  54  $185.57M  2488억  46억원  2019  61  $196.02M  2628억  43억원  2020  56  $215.62M  2891억  51억원  2021  57           2023     $374.8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