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 관련/A.I 인공지능
2025년 기준 RAG 기술 트렌드 요약
호레
2025. 6. 12. 13:58
반응형
트렌드 키워드설명
🔗 LangChain 표준화 | RAG 구현의 사실상 표준 프레임워크로 자리잡음 |
🧱 LlamaIndex와의 통합 | LangChain과 보완적으로 사용, 문서 추출 자동화에 특화 |
🧠 오픈소스 LLM 연동 증가 | Ollama, Mistral, LLaMA 등 프라이빗 LLM과의 연결 급증 |
🧰 n8n 등 자동화 툴과 연계 | 워크플로우 자동화와의 결합으로 엔터프라이즈 적용 확산 |
🛡️ 보안/내부용 RAG 수요 급증 | 개인정보/기밀 데이터로 인해 로컬 기반 RAG 수요 증가 |
📊 실사용/인기 기준 RAG 프레임워크 순위 (2025)
순위프레임워크실사용 트렌드 & 특징
🥇 1 | LangChain | LLM 기반 앱 개발의 사실상 표준. 커뮤니티, 튜토리얼, 플러그인 생태계 방대. 대부분의 RAG 구현에 사용됨. |
🥈 2 | LlamaIndex | 문서 기반 인덱싱/RAG에 특화. LangChain과 함께 많이 사용됨. 고성능 문서 파이프라인 제공. |
🥉 3 | Haystack | OpenSearch, HuggingFace 모델을 쓰는 기업형에서 선호. API 서버 제공. |
4 | PrivateGPT | 로컬/오프라인 LLM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인기 급증. 보안 민감 조직에서 사용 많음. |
5 | RAG (Meta) | 논문 기반이지만, 직접 Fine-tuning하는 리서치 커뮤니티 중심에서 여전히 활용됨. |
6 | EmbedChain | 스타트업/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빠르게 적용하기 좋음. 설정 간단하고 구조 가벼움. |
🧑💻 사용자 유형별 추천
사용자 유형추천 프레임워크이유
RAG 입문자 | LangChain + Chroma | 간단한 튜토리얼 많고, 파이프라인 설정이 직관적 |
문서 기반 QA 특화 | LlamaIndex | 다양한 문서 소스 연결 지원, chunking 자동화 |
엔터프라이즈 기업 | Haystack | OpenSearch 연계 및 REST API 구성이 뛰어남 |
내부 시스템/보안 | PrivateGPT | 로컬에서 완전 오프라인 실행 가능 |
빠른 MVP | EmbedChain | ChatGPT + 문서 QA 빠르게 시연 가능 |
📈 실제 사용 예시 (2025 상반기 기준)
기업/사례적용 방식
Salesforce | LlamaIndex로 Salesforce 문서 기반 자동 답변 시스템 구축 |
Zillow | LangChain 기반 RAG로 부동산 데이터 분석 서비스 운영 |
독일 국방부 | PrivateGPT + Ollama로 기밀 문서 기반 LLM QA |
국내 금융권 A사 | Haystack + LLaMA 2로 사내 지식 기반 챗봇 운영 중 |
📌 결론: 지금 가장 많이 쓰는 조합은?
✅ LangChain + LlamaIndex + Chroma + Ollama (또는 GPT-4)
→ 가장 유연하면서도, 사내 RAG 시스템 또는 Slack/Notion/GDocs 등과도 잘 붙는 조합입니다.
반응형